•  1
    이 논문의 목적은 인간학이 칸트 철학에서 갖는 지위의 문제에 주목하면서 칸트의 인간학을 근저에서 떠받치고 있는 근본 이념이 무엇인지 드러내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논자는 칸트의 인간학은 자연 목적론이 역사 목적론으로 확장되고, 미래에 이루어질 인류의 도덕적 완성과 관련된 역사 목적론적 이론이 다시 자연 목적론의 토대 위에서 개진되는 이중의 목적론에 정초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논자는 우선 칸트의 세계지(Weltkenntnis) 개념을 분석하면서 인간학이 실용적 지식이라는 칸트의 정의의 핵심은 인류에 대한 세계시민적 이해가 세계 전체에 대한 우주론적 고찰을 경유하여 성취되는 관점의 확장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이어 논자는 자연과 인간의 연속성을 전제하는 이 관점의 전환이 「목적론적 판단력 비판」에서 자연목적론의 역사 목적론에로의 확장이라는 형태로 수행된다고 주장하고 어떻게 그러한지 분석한다. 논자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비사교적 사교성 개념을 분석하면서 「목적론적 판단력 비판」에 제시된…Read more
  •  3
    On the Genus-process and the Problems of Sex-relation and Death in Hegel’s Encyclopaedia
    Proceedings of the XXIII World Congress of Philosophy 28 119-123. 2018.
    Dealing with the existence of organic being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iversal genus, the genus-process in Encyclopaedia can be considered a teleological explication given by Hegel. It can be further rightly qualified as an internal teleology since it understands the existence of this universal as an internal process of self-constitution. Nonetheless, i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Kantian internal teleology, which argues that the internal purposiveness should not be regarded as a constitut…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