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필자는 본 논문에서 귀납의 문제와 관련하여 흄이 『인성론』 1권에서 이성을 통하여서는 이를 정당화 할 수 없다고 주장한 것으로 해석하는 기존의 회의주의적 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필자의 견해에 따르면, 흄이 『인성론』 1권에서 비판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은 인과 추론의 정당성 문제 그 자체가 아니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져 온 무오류적 이성 개념이다. 흄은 이 무오류적 이성 개념을 부정하고, 이성을 넓은 의미에서의 상상력 아래로 포섭 시킨 후, 그 안에서 무작위로 작동하는 좁은 의미에서의 상상력과 개연성의 논리에 따라 작동하는 이성을 구분함으로써, 인과 추론을 정당화하는 새로운 길을 열고 있다. 따라서, 흄은 『인성론』 1권에서 인과 추론의 정당성을 부정하고 더 나아가 총체적 회의주의로 빠져드는 것이 아니라, 이성 개념을 새롭게 정립함으로써 오히려 총체적 회의 주의로 빠지지 않고 새로운 방식으로 인과 추론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시도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필자의 해석은 …Read more
  •  70
    Hume on the Problem of Other Minds
    British Journal for the History of Philosophy 27 (3): 535-555. 2019.
    ABSTRACTHume is not often cited as a philosopher who posited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Other Minds. He instead seems to assume the belief in other minds in his moral philosophy without justification. However, Hume needs to explain how we experience and respond to others’ affections, and hence generate moral sentiments, given how central the latter are to his moral theory. Two recent interpretations of Hume’s solution to the Problem are the Wittgensteinian Interpretation, and the Simulation Th…Read more